본문 바로가기

생활 정보

가족간 계좌이체, 8월 부터 증여세 폭탄?

반응형

가족간 계좌이체, 8월 부터 증여세 폭탄?

 

최근 SNS, 유투브를 통해 

가족간 계좌이체시 50만원 이상이면 증여세 대상이 된다 라는 내용을 들은 적이 있는데요.

올 8월부터 AI를 도입해서 다 걸러낸다. 이런식의 내용이었습니다.

 

그래서 뉴스, 내용들을 살펴보았는데

일단 국세청 피셜.

국세청 관계자는 "조세 포탈 혐의 포착 등을 위한 자체 전산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지만, 기존과 달리 무작위 개인 계좌 전체를 조사하는 일은 없다"며 "소액 거래를 들여다보기 위한 새로운 시스템은 운영하지 않고 있다"고 일축했다고 합니다.

 

 

아마 임광현 신임 국세처장 취임사 등에서 "AI를 활용한 탈세 적발 시스템을 고도화하겠다"라고 밝힌 것이 이렇게 소문이 난 것 같습니다.

 

하지만 개인이 하루 1000만원 이상 현금을 입출금하는 경우 알고리즘에 의해 추가 분석 대상이 될 수는 있습니다. 

고액 현금 거래 보고제도에 따라 금융회사 등은 동일인이 하루 1000만원 이상의 현금 거래가 있으면 금융위원회 산하 금융적보분석원에 보고해야합니다. 금융정보분석원이 이 가운데 문제가 있다고 판단하면 국세청, 경찰청 등에 이를 통보하게 되어있습니다.

 

1. 현재 증여세 한도 기준 (10년)

 

배우자 6억원

성인 자녀 5천만원

미성년 자녀 2천만원

부모/조부모 5천만원

기타 친족 1천만원

 

2. 절세 전략

1) 이체 목적을 명확히 기록합니다.

생활비, 병원비, 대학 등록금 등 구체적으로 명시하는게 좋습니다.

 

2) 차용증 작성

1,000만원 이상 이체 시 필수로 작성하는게 좋습니다. 

이자율은 대게 4~6%, 상환기한은 명시하여야 합니다.

 

3) 이자 지급 이력 남기기

차용 입증을 위해 매달 또는 분기별 이자 송금을 합니다.

 

4) 자금 출처 증빙

급여통장, 계약서 등을 보관합니다.

 

5) 사전 증여세 신고

증여세는 신고합니다.

 

반응형